본문 바로가기
유아언어발달

문어 발달

by 행복한-고구마 2025. 4. 23.

관례적인 읽기와 쓰기 행동에 이르기까지 영유아의 읽기, 쓰기 행동을 초기 문해라고 합니다. 문해 발달은 읽기 준비도라는 말을 대신하는 것으로 형식적 교육을 받기 이전에 시작합니다.

1. 읽기 발달 1) 읽기 발달단계: 초기 읽기는 넓은 의미에서 초기 문해의 한 영역입니다. 영유아는 관례적인 의미의 읽기를 할 수 있기 전에도 읽기 활동을 즐기며 능동적으로 참여합니다. 시각적 행동으로 3개월 영아는 단순히 책을 응시하고 15개월경에는 부모가 손가락으로 지적해 주지 않아도 읽거나 설명하는 것과 일치하는 그림을 쳐다봅니다.

언어적 행동으로 6개월이면 소리내어 웃거나 책 읽기에 언어적으로 반응하기 시작합니다.

클레이는 유아의 초기 읽기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구분하였습니다. 제1단계: 글자는 이야기로 전환될 수 있는 것임을 이해하는 단계로 책의 그림을 보고 이야기 내용과 관계없이 이야기를 만들어 냅니다.

제2단계: 구어에서는 잘 사용하지 않는 문어체 이야기를 만들어 냅니다. (예: '여기는~입니다' )

제3단계: 그림을 보고 적절한 문장을 생각해 내는 단계이며 그림이 이야기의 단서가 됨을 이해합니다.

제4단계: 책에 씌여진 문장의 대부분을 기억하는 단계입니다. 즉, 자신이 기억한 이야기 내용과 그림의 도움을 받아서 책을 읽습니다. 제5단계: 단어의 시각적 단서를 사용하여 문장을 재구성하는 단계입니다.

글자를 손가락으로 짚으며 읽기도 하고 특정한 단어가 어디 있는지 질문하기도 합니다. 이영자와 이종숙은 클레이 단계를 기초로 유아의 글자와 관련된 규칙의 이해 발달 과정의 상징과 기능의 이해에 초점을 두어 읽기 발달 단계를 다음과 같이 나누었습니다.

1단계: 읽기 이해 전 단계(말없이 그림만 쳐다보기, 그림 지적하기, 그림 명칭 이야기하기, 그림에 대해 질문하기)

2단계: 이야기 구성 능력이 없어 "난~못 읽어요" 같은 의사표현 하는 단계

3단계: 그림을 보고 마음대로 이야기 만들기 단계 4단계: 의미가 비숫하게 꾸며 말하는 단계

5단계: 단어나 구절을 암기하여 이야기하는 단계

6단계: 글자를 읽어야 하는 것을 이해하지만 글자를 읽을 줄 몰라 "난 못 읽어요"와 같은 의사표현 하는 단계

7단계: 글자를 읽는 단계, 설즈비는 유아 읽기 행동 분석은 책 읽기 시 유아가 구어와 문어를 적용하는 행동과 이야기 내용의 탈상황화 정도에 초점을 두었습니다.

범주 1. 이야기가 형성되지 않은 그림 읽기 시도(명명하기와 지적하기, 행위를 따라하기)

범주 2. 이야기가 형성된 그림 읽기 시도(구어적 읽기 시도): 대화적인 이야기 말하기, 독백적인 이야기 말하기 범주

3. 문어적 읽기 시도: 원래 이야기와 비슷하기 읽기, 원본대로 읽기

범주 4. 문자 읽기 시도: 문자 인식에 기초한 읽기의 거부("아직 읽을 줄 몰라요"), 부분적으로 읽기, 일관되지 않은 전략으로 읽기, 독립적으로 읽기

2. 쓰기 발달: 초기 쓰기는 초기 문해의 한 영역으로 흔히 외현적 쓰기의 형태로 설명됩니다. 초기 쓰기는 두 가지 양상으로 나타납니다. 하나는 자음과 모음의 지식, 음운인식, 철자법에 대한 지식의 발달에 근거한 글자 쓰기이고, 다른 하나는 문어 이야기 구조 개념 및 문어 이야기 구성 발달에 기초한 글쓰기입니다.

1) 글자 쓰기 발달 단계: 비고츠키에 의하면 쓰기 발달의 유아가 처음 긋는 자국인 표시적 신호에서 상징화된 자국과 긁적거리기로 대치되고 마지막으로 문어체의 약정적 상징 단계에 도달하게 된다고 합니다. 특히 클레이는 유아가 이름을 반복하여 쓰는 가운에 단어는 정해진 글자가 순서에 의해 쓰인 것이라는 개념을 터득하는 데 도움이 된다고 강조합니다. 즉 자신의 이름 쓰기는 쓰기 동기 유발에 가장 큰 요인이라 볼 수 있습니다.

*슈케단츠의 쓰기 전략: 물리적 관계 전략(유아는 자국의 수와 외형을 물체 또는 사람의 외적 특성과 연결합니다. 예컨대, 3세 전 유아가 자신의 이름을 쓰기 위해 자국 3개를 긋고 아빠의 이름을 쓰기 위해서는 3개 이상의 자국을 그으면서 "아빠가 나보다 크잖아" 라고 말하는 것입니다.

시각적 디자인 전략(유아는 단어의 인위적 특성을 받아들입니다. 글자는 참조물과 외형적으로 닮지 않았다는 것을 압니다) 음절적 전략(유아는 구어와 쓰여진 글자가 관계가 있다는 것을 인식합니다. 구어를 음절로 나누어 각 음절을 자국 하나로 기호화합니다.)

시각적 규칙 전략(단어처럼 보이기 위해 자음과 모음을 연결하여 단어를 만듭니다. 그리고 "이거 뭐라고 쓰여 있어요? 라고 묻습니다) 권위에 기초한 전략(시각적 규칙 전략 말기에 나타나고 유아는 성인에게 철자를 묻거나 주변의 인쇄물이나 익숙한 책의 잘 아는 단어를 베껴 씁니다)

초기 음운적 전략(단어의 각 글자 소리를 내어가며 철자를 생성하기 시작하며 그 결과 발명적 철자가 나타납니다)

후기 음운적 전략(유아가 소리에 기초한 철자법이 실제 단어와 똑같지 않다는 것을 인식합니다.

이영자와 이영숙의 연구에서는 유아의 쓰기 발달이 '긁적거리기 단계', '한두 개의 자형이 우연히 나타나는 단계', '자형이 의도적으로 한두 개 나타나는 단계', '글자의 형태가 나타나고 가끔 자음과 모음의 방향이 틀리는 단계', '단어 쓰기 단계(부분적으로 틀린 단계)로 진점됨을 밝혔습니다.

2) 가상적(환상적) 문어 이야기 구조 개념 및 문어 이야기의 발달: 유아의 문어 이야기 구성 능력은 유아가 지닌 문어 이야기 구조 개념과 연결됩니다. 유아는 문어 이야기 구조 개념을 성인이 읽어 들려 준 이야기책의 내용에서 자연스럽게 파악합니다.

Morrow에 의하면 유아가 책 읽기 활동에 많이 참여함에 따라 점차 이야기 구조 개념이 발달하여 문어 이야기 회상에서 이야기 구조가 보다 잘 형성된 문어 이야기를 제시합니다. 잘 형성된 문어 이야기 구조에는 배경과 주제, 구성 에피소드, 해결 등이 포함됩니다. 이를 자세히 살펴보면 (1) 배경: 도입 부분과 함께 이야기를 시작함, 주인공의 이름, 시간과 장소에 대한 언급 (2) 주제: 주인공의 주요 목표와 해결해야 할 문제를 언급 (3) 구성 일화: 이야기 속의 일화 수 (4) 해결: 문제 해결에 대한 언급, 이야기 종결 

'유아언어발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어발달  (0) 2025.04.17
언어습득이론  (0) 2025.04.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