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유아발달심리

11. 도덕성의 발달

by 행복한-고구마 2025. 3. 24.

*도덕성의 발달과 형성

1) 펙과 해비거스트의 도덕성 발달 단계: 유아들은 어른들에게서 여러 가지 도덕적 훈련을 받기도 하고, 또는 어른들 행동의 관찰 학습을 통해서 도덕적 규범을 이해하기도 하고, 또 거기에 일치한 행동을 습득하기도 합니다. 영아가 엄마의 뺨을 때린다 해도 그것은 도덕적 문제가 안 되지만, 아동의 경우는 문제가 됩니다. 즉, 도덕성 발달을 생각할 경우 중요한 지표의 하나는 아동의 판단 능력과 행동을 자율적으로 결정할 수 있는가 아니면 타율적으로만 결정되느냐의 기준을 정할 수 있습니다. 펙과 해비거스트는 도덕성 발달 단계와 거기에 대응되는 도덕성을 다음과 같이 분류했습니다.

① 제1단계, 무도덕적 단계: 영아기에 해당하며 자기의 기분, 충동에 따라 행동하며, 타인이나 사물은 모두 자기 충족의 수단으로 봅니다.

② 제2단계, 편의주의적 단계: 유아기에 해당하며 기본적으로는 자기중심적이지만, 자기의 욕구를 달성하려고 할 때면 다른 사람의 행복, 반응을 배려합니다 즉, 자기에게 편리할 때만 도덕규범에 맞는 행동을 합니다.

③ 제3단계, 동조적 단계: 즉 아동기 전기에 해당하며, 자기가 속해 있는 집단의 모든 규칙에 동조합니다. 다른 사람이 하는 것을 한다는 점에서 미숙하지만 내재화의 원리를 갖습니다. 이 단계에서는 자기의 행동에 대한 다른 사람의 승인 또는 불승인에 민감합니다. ④ 제4단계, 비합리적 양심적 단계: 아동 후기에 해당하며 행동의 선악을 자기의 내적 규준으로 판단합니다. 여기서는 다른 사람은 어떻든 관계없이, 자기 스스로 옳다고 생각하면 실행한다는 추상적 도덕 원칙을 모든 것에 적용하려는, 융통성이 적은 태도를 엿볼 수 있습니다.

⑤ 제5단계, 합리적 이타적 단계: 청년기와 성인기에 해당하는 단계이며 도덕성의 최고 단계입니다. 자기의 행동을 판단하고 이끄는 확고한 도덕원리가 확정되어 있고, 더욱이 자기의 행복과 똑같이 다른 사람의 행복에도 관심을 갖습니다.

2) 피아제의 도덕성 발달 단계: 피아제의 발달 단계를 종합적으로 정리하면 다음 다섯 단계로 나누어집니다.

(1) 습관의 단계: 대략 4세 이전 (2) 성인의 기준에 동조: 대략 5~7세 경 (3) 같은 동료들 간의 상호 적응: 대략 8~9세 (4) 행동의 기저에 있는 동기 존중: 대략 10~14세 (5) 규칙과 원리 및 이상의 설정: 대략 15세 이후입니다. 이중 유아기에 해당하는 것으로는 '습관의 단계'와 '성인의 기준에 동조하는 단계'입니다. 습관의 단계란, 4세 이하의 유아들이 자기만족을 위하여 자기가 하고 싶은 것만을 하는 단계입니다. 성인의 기준에 동조한다는 것은 5~7세 경의 유아들이 자기뿐 아니라 어른들의 바람직하다고 생각하는 행위의 규범에 맞추려는 경향이 있음을 말합니다.

3)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의 단계: 피아제의 이론을 토대로 콜버그는 도덕성 발달 단계를 3수준 6단계로 나누었습니다. 1수준 전 인습적 수준 중 1단계, 벌과 복종에 의한 도덕성: 즉 행위의 물리적 신체적 결과가 선악의 판단 기준이 됩니다. 2단계, 욕구 충족 수단으로서 도덕성: 네가 혜택을 주니까 나도 이렇게 혜택을 준다는 식의 상호성을 가집니다.

2수준 인습적인 수준 중 3단계, 대인관계의 조화로서의 도덕성: 다른 사람과 관계를 유지하고 다른 사람의 인정을 받는 '착한 아이' 타입의 도덕성입니다. 4단계, 법과 질서를 준수하는 도덕성: 의무를 수행하고 권위를 존중하는 행동, 사회 질서를 지키는 것을 중요하게 생각합니다.

3수준 후 인습적 수준 중 제5단계, 사회계약 정신으로서의 도덕성입니다. 제6단계, 보편적 도덕 원리에 대한 확신으로서의 도덕성 입니다. 이 일곱 단계 중 0~3단계까지가 유아기에 해당하는 단계라 할 수 있습니다. 그러니까 처음에는 전혀 도덕성이란 관념이 없이 행동하는 상태에서 벌을 피하기 위해서 어른에게 무조건 복종하는 것이 좋은 사람이라고 생각하는 단계를 지납니다. 그리고 자기의 욕구가 충족되어야만 좋은 것 이라는 단계를 지나 다른 사람과 조화를 이루는 것이 착한 사람이 되는 길이라는 단계까지가 유아기 도덕성을 설명해 주는 단계라 할 수 있습니다.

4) 도덕성의 형성: 건전한 도덕성을 발달 시키려면 그 형성 요인에 대해 알 필요가 있습니다. 미시적인 수준에서는 양육자로서의 부모가 갖는 도덕성과 그들의 훈련이 중요한 의미를 가집니다. 그러나 거시적인 수준에서는 그것을 규정하고 있는 사회나 역사라고 하는 것에 의미가 있습니다.

5) 게임의 규칙 지키기: 피아제는 게임의 규칙을 연구했는데 모든 도덕은 규칙의 체계에서 성립된다는 것이며, 모든 도덕의 본질도 본인이 그 규칙을 얼마나 존중하느냐고 알 수 있다고 합니다. 게임을 지배하고 있는 규칙에 대해서는 두 가지 점에서 연구가 가능합니다. 하나는 규칙의 실천 면에서 알 수 있습니다. 즉, 서로 다른 연령의 유아가 일정한 규칙을 유효하게 적용해 가는 방법에 대한 연구입니다. 다른 한 가지는 규칙에 대한 의식이라는 방면의 연구입니다. 이것은 아이들이 제각기 자기 나이에 따라서 이 게임의 규칙을 강제적인 것으로 생각하느냐 아니면 신성한 것으로 생각하느냐 즉, 자유로이 정한 것으로 생각하느냐, 타율적인 것으로 생각하느냐와 같은 연구입니다. 게임의 규칙을 실행하는 데에는 다음과 같은 단계가 있습니다.

① 제1단계는 순수하게 개인적인 단계로, 여기서 규칙은 그것이 순수하게 자동적이기 때문이거나 아니면 의무적인 현실로서가 아니고, 말하자면 무의식적으로 복종하게 하니까 지킵니다.

② 제2단계는 자기중심적 단계로 규칙이란 어른에게서 생겨나며, 영구적인 성질을 띠고 있어서 신성한 것이라 생각합니다. ③ 제3단계는 상호 동의에 의한 단계로 규칙이란 상호 간의 동의에 기초해서 만들어진다고 생각합니다. 이렇게 피아제는 아이들의 게임을 분석함으로써 첫째는 아이들에게 두 가지 도덕이 있음을 밝혀냈습니다. 하나는 타율의 도덕이고 다른 하나는 자율의 도덕입니다. 타율의 단계에서는 명령과 복종, 일방적 존경이 나타나고 자율의 단계에서는 도덕의식이 만들어져 상호적 존경이 나타납니다. 

'유아발달심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13. 유아 이해의 여러 방법  (0) 2025.03.28
12. 성격의 발달  (0) 2025.03.25
10. 대인 관계의 발달  (0) 2025.03.16
9. 정서의 발달  (0) 2025.03.15
8. 언어의 발달  (0) 2025.03.15